문화

삶의 풍경이 머무는 곳
[수필] 빨래의 의미
'글. 최명임'

“서답은 땟자국 없이 빨아서 항상 정갈하게 간수해야 하는 기라.”
모처럼 오신 친정어머니께서 내가 빨래하는 모양새를 보며 하는 말씀이다. 나는 세상없어도 세탁기 없는 빨래는 엄두를 못 낸다. 애꿎은 방망이질과 비누의 거품이 어우러져 삶 한 자락이 눈물겹게 씻기어 나가던 빨래터를 잊지 못하셨을까. 어머니는 고집스럽게 손빨래만 하셨다.
어머니 빨래는 칼칼한 방망이질과 매운 손끝으로 비벼서 땟자국 한 점도 놓치지 않으려는 정성과 애정이 깃들어 있었다. 가슴이 없는 기계보다 우월했다. 어수선한 내 장롱과 서랍 속의 무심함까지 들추어 보셨는데 바쁜 처지를 핑계 대면서도 무안했다. 계시는 동안 빨래 꺼리는 어머니 손에서 환탈하는 서답이 되었다. 어머니는 진정한 환탈을 알고 계셨다.
한 살배기 손자의 옷을 빨았다. 옅은 땟자국과 젖 냄새와 아기 냄새가 달다. 아기의 단내를 기계에 맡기기엔 마음이 허락지 않아 조물조물 비벼 널었다. 어머니의 마음을 비로소 헤아릴 것 같다.
알라딘이 지니를 부르듯 집집마다 지니를 부르는 소리 요란하다. 여기저기서 툭툭, 삐삐 “주인님, 부르셨나요?”
문명의 혜택은 인간의 노동을 절반으로 줄였다. 아니 그 이상이다. 손품에서부터 발품에 이르기까지 버튼 하나로 이루어지는 시대에 살고 있으니 알라딘의 요술램프 하나쯤 가지고 있는 셈이다. 인공지능에 길이 든 나는 그 편리함에 만성이 되었는데 지난번 알파고의 위협에는 은근히 두려움을 느꼈다. 어느 날 영혼까지도 저당 잡힐 것 같은 두려움이다. 알파고에 진 것은 바둑기사 이세돌 자신이라 하였으니 인간의 두뇌는 여지없이 알파고를 위협할 묘수가 나오리라 믿는다.



다시 빨래터를 찾거나 무쇠솥에 밥을 안칠 용기는 없다. 장문의 손편지를 쓸 여유는 더더구나 없다. 마음이 여의치 않기 때문이다. 그래도 간간이 그때를 그리는 이유는 내 안에 녹아있는 무엇으로 잊혀가는 정서를 맛보고 싶은 것이리라.
바쁜 하루를 벗어놓은 가장의 옷 냄새가 역하다. 번잡한 때와 노동의 애로와 술 한 잔에 풀고 온 회포가 뭉글뭉글 배어있다. 짠하고도 애정이 간다. 세탁기에 넣고 묘약 두 숟갈도 함께 넣었다. 하나는 정화작용을 하고 다른 하나는 향기를 품어 격을 높이려고 한다. 담백하게 버튼을 눌러놓고 나는 능력자가 된 기분이다.
혼란 속을 들여다보았다. 깊은 뜻을 모르는 군상들이 아연하다. 묘약은 슬금슬금 스며들고 취한 듯 비틀거리기 시작했다. 어느 시점에 들자 예고도 없이 태풍이 휘몰아쳤다. 한 점 흠도 용납할 수 없는 영약은 깊이 파고들어 허연 물거품을 일으킨다. 숨이 턱에 닿도록 몰아붙이다 물세례로 뒷수습을 한다. 다시 반복하기를 여러 차례, 사람을 거듭나게 하는 신의 묘수처럼 현란하다.
진액까지도 짜버렸나. 기절한 듯 쓰러져 누운 빨래를 꺼내는데 품은 향기가 은은하다. 툭툭 털어 구겨진 부분을 반듯하게 펴고 일그러진 표정을 만져서 달래었다. 눈부신 볕과 청정한 바람에 널었더니 상쾌한 웃음소리가 바람을 탄다. 거듭난 모습이 영락없는 환탈이다.
그끄제 방앗간에 갔을 때 기름을 짜내던 모습과 흡사하다. 들깨를 물에 일어서 말렸더니 뽀송뽀송한 것이 알찼다. 건네받은 주인은 능숙하게 버튼을 누르고 혼돈 속으로 밀어 넣었다.
난亂이다. 들여다보던 나도 현기증을 느낀다. 감당하자고 내맡긴 몸이 불덩이가 되었다. 질기게 덮고 있던 허물이 벗겨지자 진액이 흘러나왔다. 참이요, 본질이다. 향기가 진동한다. 하물며 사람이야, 우러나는 향기가 얼마나 진하고 달콤할까. 참과 본질은 쉽게 드러나지 않는 법이다. 갑각류의 등짝보다 단단하고 업장같이 질긴 허물을 몇 겹이나 벗겨내어야 할지 몰라서 진흙탕 속에서 헤매기도 한다.
문제의 사람이 거듭났을 때 우리는 환골탈태했다고 박수를 보냈다. 그 사람 또한 저라고 여겼던 저를 버리는 고뇌와 쓰라린 인내가 있었을 게다. 환골탈태는 번뜩이는 신의 메시지로 사람 안에서 일어나는 천지개벽이다.
햇볕이 좋아 잘 마른 옷을 걷었다. 빨래가 기계의 힘을 빌려 환탈 했다면 손으로 개는 일은 확신이다. 다독다독 개고 앉았으려니 생각나는 사람이 있다.
친구의 남편이 혈기왕성한 20대에 해인사에 여러 날을 머문 적이 있었다. 해인사를 이웃하고 살지만, 특별한 이유가 있었던 모양이다. 하루는 노스님이 그의 방에 들렀다가 이불과 빨래 갠 모양새를 보고 “고놈, 쓸 만한 놈이로세. 됐다.” 하고 가셨단다. 빨래를 개 놓은 모양새를 보고 그 사람의 성격과 됨됨을 알아보셨을까. 그만하면 제 앞가림은 능히 할 수 있는 쓸 만한 놈이라는 스님의 안목인 게다. 이불도 빨래한 옷도 각을 잡아서 반듯하게 접어놓았다던 그는 빨래의 진정한 의미를 알고 있었을까.
빨래의 최종목표는 옷으로 거듭나 주인과 하나가 되는 것이다. 옷의 임자가 앞태 뒤태 돌아본 뒤 만족할 때 환탈의 미는 정점을 찍는다.
빨래는 매일 내 손에서 환탈 한다. 아침 댓바람부터 지니를 불러내고 부랴부랴 나서는 식구의 입성을 앞태 뒤태 돌아본다. 빨래를 기계에 부탁하고 전쟁터로 나가는 투사의 옷을 정성으로 다림질 한다.
나도 매일 거듭난다. 육신은 어제의 내가 아니고 내일의 내가 아닐 테니 거듭남은 분명하다. 나는 거듭나 본 적이 있던가. 환탈이 아니어도 나인 척 내 안에서 행세하는 모순덩어리 하나쯤 버리는 노력은 해 보아야 할 것 같다.
내게서도 향기가 나려나. (*서답: 빨래의 경상도 방언)

EDITOR AE류정미
최명임 작가
이메일 : cmi3057@naver.com
2014년 문학저널 신인상
충북수필문학회, 한국문인협회, 한국산문 회원, 내육문학회원 / 충청타임즈 ‘생의 한가운데’ 필진(전)
청주교차로 신문 ‘삶의 풍경이 머무는 곳’ 필진(현)
우리 숲 이야기 공모전 수상
추억의 우리 농산물 이야기 공모전 수상
매일 시니어 문학상 수상
수필집 빈 둥지에 부는 바람, 언어를 줍다
본 칼럼니스트의 최근 글 더보기
해당 카테고리의 다른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