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삶의 풍경이 머무는 곳
[수필] 시간을 읽다
'글. 박종희'

시간은 기억의 방이다. 아주 내밀하게 드나들 수 있는 나만의 통로다. 문을 열면 아스라이 멀어져 간 추억이 머물고, 손을 뻗으면 놓치고 싶지 않았던 순간이 닿을 듯한 그리움의 곳간이다. 하지만, 그것도 잠시, 애써 떠올렸던 흔적은 연기처럼 사라지고 오히려 통증만 남겨두는 시간의 속을 나는 아직도 알 수 없다. 그래서일까. 지나간 시간을 열면 그리움과 아픔이 한꺼번에 몰려든다.
하루가 다르게 조바심 내던 시간이 마침내 어머니의 손을 놓았다. 중환자실에 누워 계신지 8개월 만이었다. 단, 1분 만에 생과 사를 정확하게 갈라놓은 시계는 아무 일 없다는 듯 다시 초침을 움직이기 시작했다. 이제 이승에서 어머니를 볼 수 있는 시간은 사흘뿐이다.
한정된 시간은 야속하게도 융통성이 없다. 어머니를 기억하는 사람들을 맞이하며 눈물을 찍어내고 몇 끼 육개장을 꾸역꾸역 밀어 넣고 나니 누더기가 된 시간은 어느새 바닥을 드러냈다.
사흘째 되던 날 시간은 어머니를 화장터로 모셨다. 자식들의 마지막 인사가 끝나자 어머니를 누인 방에 빨간색 불이 들어왔다.
화로실 아궁이가 보이는 유리창을 바투 두고 묵은 각질 같은 침묵이 내려앉았다. 마지막 의식인 화장(火葬)을 하는 동안 수없이 많은 번민과 편린들이 꼬리를 물고 일어섰다. 생의 언저리에서 어머니의 시간 속에 파고들었던 크고 작은 일들이 씀벅씀벅 머리를 들었다.



내 삶에 그을음처럼 어머니를 원망하던 때가 있었다. 어릴 때 어머니한테는 늘 새물내가 난다고 생각했다. 그렇게 깔끔하고 부지런하던 어머니가 자리에 누우셨다. 어지럼증으로 부재중이던 어머니의 자리를 가까스로 아버지가 채우고 있었지만, 어머니가 누워있는 집은 온기가 없었다.
눈을 감았다. 그날의 흔적을 찾으려 시간을 들추자 어둠 살 곱게 번지는 친정집 앞마당이다. 아슴아슴 추억을 더듬으며 방문을 여니 막내를 잃고 해쓱해진 어머니가 보였다. 하도 어렸을 때의 일이라 기억도 희미하지만, 어머니가 머리를 싸매고 눕기 시작한 것은 막냇동생이 죽고 난 뒤였던 것 같다. 태어난 지 한 달밖에 안 된 자식을 잃은 어머니의 방은 빛을 잃었다. 시간이 멈춘 듯 침울하고 눅눅했다. 아침이 와도 어머니는 눈을 뜨지 않았다.
어머니의 시간을 더듬으면 이상하게도 가슴이 저리고 알짝지근해진다. 아마도 장녀라는 역할이 주는 무게감 때문이리라. 어머니의 시간을 읽다가 문득, 20여 년 전 초여름 어느 날의 시간 앞에서 눈물을 떨구고 말았다. 그날의 일을 제법 꼼꼼하게 기억하는 시간은 어머니한테 분홍색 고운 반소매 티를 입혔다. 분홍색을 좋아하는 어머니한테 내가 생신 선물로 사다 드린 옷이었다. 어머니는 주방에서 티셔츠 색깔보다 더 진한 분홍색 눈물을 훔치고 계셨다. 아버지는 안방에서 들리지도 않는 티브이 볼륨을 아주 크게 틀어놓고 있었다.
어머니는 당신 생일이라고 밀물처럼 밀려왔던 자식들이 한꺼번에 우르르 돌아가고 남아 있는 텅 빈자리와 시간이 갑자기 무섭고 두려워졌다고 했다. 늘 반복되는 익숙한 풍경이었지만 갱년기를 맞이해 마음의 근육까지 모두 소진한 어머니한테 그날은 특별히 더 공허한 날이었던 것 같다. 먼 길 가는 큰딸한테 서둘러 가라고 등을 밀었지만 한편으로는 당신 몸에서 일어나는 변화에 대해 하소연하고 싶었을 게다.
그날 우리가 무슨 말을 했는지, 내가 어머니를 위로했는지 무관심하게 지나쳤는지 잘 생각나지 않는다. 기억이란 원래 양면성이 있어 조금만 시간이 지나도 희미해지고 어느 순간 자기한테 유리한 쪽으로 왜곡하기 때문이리라.



두 시간이 지났을까. 어머니를 모신 방에 초록색 불이 들어왔다. 화장(火葬)이 끝났음을 알리는 신호였다. 육 남매가 시도 때도 없이 빼먹은 등골로 구멍이 숭숭 난 유골이 한 줌의 재로 남았다. 80년이라는 시간이 남긴 어머니의 흔적 앞에 나는 다시 무릎을 꿇었다.
시나브로 어머니의 장례에 맛 들어가던 시간이 드디어 폐장 시간을 눈앞에 둔 듯 초조해졌다. 하늘이 내려앉듯 이제 정말 모든 게 끝났다는 생각이 들었다. 장례 의식을 맡은 목사님은 어머니가 보고 싶으면 서로의 얼굴을 기억하라고 했다. 목사님의 말끝에 형제들의 얼굴을 바라보니 아이러니하게도 육 남매의 얼굴마다 어머니의 마디마디가 역력하게 드러나 보였다.
어머니가 떠나시고 멈춘 듯 보이던 시간이 계속 흘렀다. 다시 어머니의 시간을 읽는다. 어머니의 시간은 모가 나거나 수직적이지 않다. 육 남매 키우면서 돌부리에 걸려 넘어지고 세월에 깎여서인지 둥글며 탄력 있고 제법 융통성도 있다.
어머니만큼 시간을 요긴하게 쓴 사람이 또, 있을까. 어머니는 시간을 축내지 않고 마디게 부릴 줄 아는 사람이었다. 어머니는 육 남매를 위해 매일 새벽기도를 다녔다.
승진을 앞둔 큰오빠와 구조조정에 걸려 있던 남동생, 기관지가 약해 골골하는 큰딸까지 육 남매 중 어느 한 명이라도 뒤처질까 봐 애쓰던 어머니는 가뭄으로 타들어 가는 이삭들도 모두 일으켜 세웠다. 생각해보면 육 남매 모두 무탈하게 사는 것도 다 어머니 덕인 것 같다.
어머니가 떠나시고 나서 벌써 일곱 번째의 봄을 맞이하지만, 여전히 7년 전의 봄날이 선명해 눈이 아프다.
도대체, 무슨 심사일까. 정확한 성질만큼 뒤변덕스러워 웃음과 눈물을 동시에 전해주는 시간은 어디에 갇혔다가 불쑥불쑥 나타나는지. 잊을만하면 불현듯 시간의 빗장이 열린다.
그렇다 하여도 변하는 것은 없다. 때가 되면 밥을 먹고 어둠이 몰려오면 잠을 잔다. 다만, 한 가지 달라진 것이 있다면 어머니의 시간을 먹고 자란 내가 어머니의 기막힌 시간을 읽어내느라 내 시간이 빨리 소진된다는 것이다.
그럼에도 나는 여전히 어머니의 시간을 읽는다.

EDITOR AE류정미
박종희 작가
이메일 : essay0228@hanmail.net
2000년 『월간문학세계』수필 신인상 수상으로 등단
전국시흥문학상, 매월당 문학상, 김포문학상
2015년 동양일보 신인문학상 당선
제1회 119 문화상 소설 최우수상 수상 외 다수
2008년 ~ 2019년까지 중부매일, 충북일보, 충청매일에 수필 연재
저서: 수필집 『가리개』『출가』
한국작가회의, 한국산문작가협회, 충북작가회의 회원
청주시, 세종시 수필창작 강사. 충북작가회의 사무국장으로 활동 중
본 칼럼니스트의 최근 글 더보기
해당 카테고리의 다른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