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일상에서 두 번 생각하다
예술과 철학의 극치를 담아내다
'궁중 연향의 꽃, 춤'

조선의 궁중 잔치인 연향은 왕실은 물론이고 백성과 함께 널리 기쁨을 나누고자 하는 뜻으로 행해진 국가의 중요한 의식이었다. 그때에는 당대 최고의 장엄하고도 우아한 춤으로 흥을 돋우었다. 궁중 연향에서 선보인 춤에는 심미성과 예술성에 더해 의미와 철학까지 담겼다.

보물 중 일부. 원 모양을 그린 채 궁중 정재를 올리는 일군의 집단을 화폭 가운데에서 확인할 수 있다. (사진. 서울역사박물관)


재예를 드린다는 의미를 지닌 정재
궁중무용은 왕권정치 체제가 성립된 삼국시대 이후 국가의 각종 행사나 의식, 궁중의 연례(宴禮) 등에 춤이 쓰이면서 형태가 자리잡기 시작한 것으로 파악된다. 정재(呈才)는 원래 궁중 잔치 때 행했던 모든 재예(才藝)를 지칭하는 말로, 기원은 고구려 벽화에서 확인되듯이 삼국시대부터 시작되었다. 『태종실록(太宗實錄)』 중 태종 2년(1402) 6월 기록에는 ‘오양선정재’, ‘포구락정재’, ‘아박정재’, ‘무고정재’, ‘수보록정재’, ‘몽금척정재’ 등에‘정재’라는 용어가 사용되었다. 성종 24년(1493)에 편찬된 『악학궤범(樂學軌範)』과 여러 『진연의궤(進宴儀軌)』, 『정재무도홀기(呈才舞圖忽記)』에 정재라는 용어를 사용한 것으로 미루어 볼 때 조선시대부터 정착되어 통용된 용어라고 보아도 무방하다.
‘재예를 윗사람에게 보여 드린다’라는 뜻의 정재라는 용어는 ‘재예를 드린다’라는 의미로 사용했다. 이러한 궁중 정재는 국가기관에 예속되어서 오랜 세월 성장, 발달된 무용으로, 나라의 경사, 궁중 연향, 외국 사신을 위한 연회에서 왕후와 재상이 즐기며 감상하던 것이다. 나아가 규모의 차이는 있었지만 지방 관아까지 이러한 종목이 전파되어 향유되었다.
궁중 정재는 형성된 배경과 음악적 성격에 따라 당악정재(唐樂呈才)와 향악정재(鄕樂呈才)로 대별된다. 당악정재는 송대에 전래된 아악을 제외한, 중국에서 전래된 모든 정재를 통칭하는 것이고 향악정재는 고대부터 내려온 우리 고유의 음악과 수(隋)나라 이전에 중국에서 전해 들어온 음악이 우리 고유의 음악과 융화되면서 토착화된 악무(樂舞)를 가리킨다.
당악정재는 죽간자(竹竿子), 구호(口號), 치어(致語)가 수반되고, 당악 반주에 맞추어 한문 가사를 노래하며무대 좌우에 인인장(引人仗), 정절(旌節), 봉선(鳳扇), 용선(龍扇), 작선(雀扇), 미선(尾扇)을 든 의장대가 각각 도열해 위의(威儀)를 갖추고 있는 점이 특징이다. 대표적 정재 종목은 <헌선도(獻仙桃)>, <수연장(壽延長)>, <오양선(五羊仙)>, <포구락(抛毬樂)>, <연화대(蓮花臺)> 등이다. 반면 향악정재는 죽간자, 구호, 치어가 없고 우리말 노래를 부르는 것이 특징이며 <무고(舞鼓)>,<동동(動動)>, <학무(鶴舞)>, <봉래의(鳳來儀)>, <가인전목단(佳人剪牧丹)>, <춘앵전(春鶯?)>, <경풍도(慶?圖)>, <만수무(萬壽舞)> 등이 이에 속한다.

左) 종묘나 문묘 등의 제향 때 연행되는 <일무> (사진.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右) 국가무형문화재 <학연화대합설무> (사진. 문화재청)


왕실의 존엄과 조종의 문덕을 찬양
궁중 정재의 내용은 왕실의 존엄과 위엄을 찬양하고, 왕의 만수무강과 복록(福祿), 나라의 태평을 기원한다. 또 조종(祖宗)의 공덕을 추앙하고, 왕업을 과시함과 동시에 왕실의 번영을 경축하는 내용도 포함되어 있다. 궁중 정재는 먼저 춤의 제목과 ‘창사(唱詞)’를 짓고 난 뒤 그에 따른 음악과 춤이 공동 작업으로 만들어진다. 정재를 추는 기녀(妓女)와 무동(舞童), 악공(樂工)의 훈련과 지도, 공연은 모두 국가에서 운영했다. 궁중 정재는 왕과 왕비,주빈이 잔치를 즐기는 가운데, 술 1작(一爵)이 올려질 때마다 춤이 차례로 함께 올려졌다.
궁중 정재에 속하는 춤 중 하나는 <일무(佾舞)>로 종묘(宗廟)나 문묘(文廟) 등의 제향 때 사용되는 의식무이다. 고려 예종(睿宗) 때 중국에서 대성악(大晟樂)의 핵심 악무로 들어왔다. 일(佾)이란 열(列)과 같은 뜻으로 줄을 지어서 추는 춤을 말한다. 1975년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된 종묘제례(宗廟祭禮)에서 조종의 문덕(文德)을 찬양하며 초헌례를 행할 때 연주하는 <보태평지악(保太平之樂)>의 첫번째 곡이 <일무>이다.<일무>에는 문무(文舞)와 무무(武舞)가 있는데, 영신(迎神)·전폐(奠幣)·초헌례(初獻禮) 시보태평지무 음악에 맞추어 추는 춤은 문무, 아헌(亞獻)·종헌례(終獻禮) 시 정대업(定大業) 음악에 맞추어 추는 춤은 무무라고 한다. 문무는 문관의 덕을 찬양하는 춤으로 왼손에는 약을 들고 오른손에는 적(翟)을 들고 추는데, 춤을 추는 방법은 종묘와 문묘가 다소 다르다.

01. 국가무형문화재 <처용무> (사진. 문화재청) 02. <검기무> 중 하나인 국가무형문화재 <진주검무> (사진. 문화재청)
03.조선 순조 때 창작된 향악정재, <춘앵전> (사진.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당악정재와 향악정재에 속하는 춤들
궁중 정재를 구성하는 춤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우선 국가무형문화재 <학연화대합설무(鶴蓮花臺合設舞)>가 있다. <학연화대합설무>는 국가의 어진 정치를 칭송하는 내용을 주제로 삼고 있다. <학연화대합설무>를 구성하는 <학무>와 <연화대무>는 각각 독립된 춤이었는데, 세종(世宗) 대 이후 여러 춤을 엮어서 추는 합설 형식을 이루었다. <학무>는 향악정재로 조선 초기 『악학궤범』에는 청·백학이,조선 말기 『정재홀기(呈才笏記)』에는 청·황학이, 고종2년(1865) 정현석의 『교방가요』에는 백학 한 쌍이 서로 대무하면서 춤을 추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우리나라 춤 중에서 새의 형상을 뒤집어쓰고 추는 유일한 탈춤이다. <연화대무>는 고려시대부터 추어 온 당악정재로 두 동녀(童女)가 봉래에서 내려와 연꽃술로 태어났다가 군왕의 덕화(德化)에 감격해 가무로 그 즐거움을 전하러 왔다는 것인데, <미신사(微臣詞)>에 그 내용이전해진다. <학연화대합설무>는 학이 연통(蓮筒)을 쪼면 동녀가 나와서 춤을 추는 드라마틱한 구성의 향·당악 복합 정재이다.
<검기무(劍器舞)>는 검기(劍器), 곧 칼을 들고 추는 칼춤으로 검무(劍舞)라고도 한다. 항장무(項莊舞)에서 항백(項伯)이 검을 소맷자락으로 막았다는 뜻으로 ‘공막무(公莫舞)’라고 했다가 순조 29년(1829)에 검기무로 이름이 바뀌었다. 삼국시대부터 전래되는 향악정재로 신라 사람들이 애국소년 황창(黃倡)의 충심을 기리기 위해 황창의 가면을 쓰고 검무를 추기 시작한 데서 유래했다. 원래는 민간에서 가면무로 행하던 것인데, 조선 순조(純祖)때 궁중 정재로 채택되었고, 궁중 정재로 편입된 이후로는 가면을 사용하지 않게 되었다. <공막무>, <첨수무(尖袖舞)>라는 이름으로 궁중의 연례에서 자주 연행되었는데 전복(戰服)을 입고 전대(戰帶)를 두르고 전립(戰笠)을 쓴 네 명의 무원(舞員)이 춤을 춘다. 국가무형문화재 <진주검무(晋州劍舞)>도 <검기무>의 한 종류이다.
국가무형문화재 <처용무(處容舞)>는 신라 헌강왕(憲康王, 재위 875~886) 대 동해 용왕의 아들로 사람 형상을 한 처용이 노래를 부르고 춤을 추어 천연두를 옮기는 역신으로부터 인간 아내를 구해 냈다는 ‘처용설화’에 연원을 두고있다. 고려시대의 <처용희(處容?)>와 <고려처용가(高麗處容歌)> 등의 존재로 고려시대에 널리 가면무로 가무화한 정황이 포착된다. <처용무>는 고려와 조선시대 궁중의 나례(儺禮)와연례에서 처용가면을 쓰고 춤을 추는 일종의 무극으로 의상과 대형에서 보이는 청·홍·황·흑·백의 오방과 오색은 음양오행을 상징한다. 오색의 의상을 입은 다섯 명의 남자가 춤을 추는데 궁중의 연례에서는 평안을 기원하는 의미를, 나례에서는 복을 구하는 벽사진경(?邪進慶)의 의미를 지닌다.
마지막은 <춘앵전>이다. <춘앵전>은 1828년 조선 순조 대에 창작된 향악정재이다. 순조의 아들 효명세자(孝明世子)가 모친 순원숙황후(純元肅皇后)의 40세 탄신을 축하하기 위해 직접 가사를 지은 것으로, 춤은 악장 김창하(金昌河)가 창작했다. 화창한 봄날 아침, 꾀꼬리의 지저귐 소리에서 영감을 얻은 까닭에 꾀꼬리를 상징하는 노란색 앵삼(鶯衫)을 입고, 화관을 쓰며 오색 한삼을 양손에 끼고 6자 길이의 화문석(花紋席) 위에서혼자 추는 독무이다.
1923년 순종황제(純宗皇帝) 50세 탄신을 경축하기 위한 마지막 왕실 공연 때 추어진 바 있는 이 춤은 1893년에 만들어진 『정재무도홀기』에 무보가 기록되어 있다. 반주 음악으로는 <영산회상> 중 상영산, 중영산, 세령산, 염불도드리, 타령 등이 연주된다. 다양한 동작과 시적 춤사위를 지닌 <춘앵전>은 매우 우아하고 미려해 궁중무용의 꽃으로 불린다.

EDITOR AE류정미
문화재청
전화 : 1600-0064 (고객지원센터)
주소 : 대전광역시 서구 청사로 189 정부대전청사 1동 8-11층, 2동 14층
홈페이지 : http://www.cha.go.kr
다양하고 유익한 문화재 관련정보
본 칼럼니스트의 최근 글 더보기
해당 카테고리의 다른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