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지혜로운 부모는 게임에서 아이의 미래를 본다
게임세대 내 아이와 소통하는 법
'게임 막는다고 공부하는 거 아니잖아요'


“종일 게임하는 아이, 정말 이대로 둬도 될까?”
게임세대 아이 앞에서 불안해하는 부모를 위한 속 시원한 지침서

부모는 불안하다. ‘종일 게임하는 아이, 이렇게 둬도 괜찮은 걸까?’ 부모는 궁금하다. ‘아이에게 게임은 어떤 의미일까?’ 그래서 묻는다. ‘지혜로운 부모라면 아이와 어떻게 소통할까?’
《게임세대 내 아이와 소통하는 법》은 게임 좋아하는 내 아이의 속마음이 궁금한 부모, 그 아이의 미래를 염려하는 부모를 위한 책이다. ‘게임을 사이에 두고 부모와 아이가 긍정적으로 연결되는 법’으로 안내하는 지침서다. 책은 세 가지 목표를 갖고 있다. 첫째, 게임하는 아이의 심리 이해하기. 둘째, 게임세대가 이끄는 게임산업 이해하기. 셋째, 아이의 현실을 인정하고 존중하는 바탕에서 지혜롭게 소통하기.
저자 이장주 박사는 게임문화를 집중 연구하는 문화심리학자이자 세 아이의 아빠다. 누구보다 부모 마음에 진심인 그는 “부모의 게임 눈높이가 아이의 미래를 바꾼다”고 말한다. 부모 세대의 막연한 공포가 자신감으로 변화하는 경험. 심리학을 기반으로 게임문화 전반에 걸친 통찰이 돋보인다.


포노사피엔스 자녀를 둔 호모사피엔스 부모의 두려움
“민준아, 게임 시간 지났다!” 게임에 빠진 아이 앞에서 큰소리 한 번 내지 않은 부모가 있을까? 게임하는 아이를 지켜보는 부모 마음은 왜 이렇게 불안할까? ‘게임세대’로 태어난 내 아이가 지금 어디쯤 와 있는 건지, 어디로 나아가고 있는지 잘 모르기 때문은 아닐까?
게임문화 강연자로 활약 중인 이장주 박사는 대부분의 부모들이 같은 고민을 한다고 말한다. “아이가 잘되길 바라는 마음은 다 똑같아요. 다만 대처법을 몰라 막막한 거죠. 스마트폰을 손에 쥐고 태어난 세대와의 관점 차이 때문에 소통은 더욱 어렵죠. 이때 부모의 태도가 어때야 하는지 딱 부러지는 답을 들은 적이 없는 거예요.”
아이들이 부모와 어떻게 다르게 생각하는지 최근의 연구와 현상들을 찾아봤습니다. 이런 정보들을 바탕으로 아이와 부모의 효율적인 의사소통법을 찾고 새로운 관계를 이끌어내는 것, 그게 이 책의 주요 얼개였습니다. (중략) 여럿이 지혜를 모으기 위해서는 누군가 먼저 시작을 해야 하는데 그런 역할이라도 되었으면 좋겠다는 마음이 들었고, 그래서 용기를 내어 이 책을 썼습니다. _에필로그 중에서
게임하는 아이의 마음을 읽으라, 게임세대의 높은 가능성을 믿으라
이 책은 크게 4부로 구성됐다. 1부는 게임하는 아이의 마음 읽기다. 게임을 할 때 아이가 무엇을 느끼고 원하는지, 아이에게 게임은 어떤 의미인지를 짚어본다. 2부는 게임이 스펙이 된 세상을 살펴본다. 장차 진로와 취업을 고민해야 하는 부모와 교사 입장에서 게임문화와 게임산업의 이해는 이제 필수다.
3부는 부모의 착각과 편견을 점검한다. 부모가 할 수 있는 일과 없는 일을 구분하고, 아이의 잠재력 향상을 위해 부모에게 필요한 태도를 짚어본다. 4부는 게임세대와 소통하는 방법이다. 원활한 소통을 위한 사례와 응용법이 제시된다. 부모가 어떻게 말하고 행동하느냐에 따라 아이의 잠재력은 크게 바뀔 수 있다.
‘존중’은 상대방의 의견과 동일하다는 뜻이 아닙니다. 상대와 의견이 다르지만, 상대방은 그렇게 생각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고 인정한다는 의미입니다. 부모님이 게임을 좋아하지 않더라도 아이가 게임하는 것을 존중하는 건 충분히 가능합니다. “엄마는 게임이 별로 마음에 들지 않지만, 네가 그렇게 좋아하니 엄마도 좋아할 수 있게 노력해볼게.” 이런 말을 들은 아이는 어떤 반응을 보일까요? _p.229
지혜로운 부모의 게임 활용법 재능을 키우는 옵션은 있다
그동안 게임을 말리거나 게임 시간을 관리해주는 정도로 아이를 지도했다면, 이 책은 지혜로운 부모로서 한 걸음 더 나아가길 권한다. 저자는 이를 ‘또 다른 옵션’이라 말한다. 게임을 적극 지지하고, 오히려 게임을 활용해 아이의 재능(경쟁력)을 키울 수 있는 옵션이다.
이 옵션에는 왕도가 없다. 다양한 지식과 기술 중에 우리 집 상황에 잘 맞는 것이 무엇인지, 어떨 때 이 기술을 선택하는 게 효과적인지 스스로 답을 찾아야 한다. 시간을 들여 직접 해봐야 한다. 게임하는 아이의 마음을 살펴보고, 게임이 바꿔나가고 있는 세상을 이해하면 두려움은 걷히기 시작한다. 게임에 대한 철학을 제대로 세운 부모의 불안은 ‘자신감’이 된다.
아이들이 게임을 좋아하는 데는 게임 밖에서 인정과 존중을 받는 경험이 적기 때문이라는 이유도 있습니다. 사람이라면 마땅히 받아야 할 인정과 존중이 고팠던 것일 수 있겠구나 생각하면 마음이 좀 짠합니다. 게임 속에서 받은 인정과 존중을 부모님으로부터 충분히 받을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요? _p.227
저자. 이장주
첨단 기술이 사람의 마음과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 문화심리학자. 특히 게임을 하는 이들과 게임을 중심으로 펼쳐지는 메타버스 관련 현상을 흥미롭게 관찰하며 글쓰기와 강연을 주업으로 삼고 있다. 2003년 중앙대에서 문화사회심리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은 후 명지대와 중앙대, 서울디지털대에서 비전임교수를 역임했다. SBS, TBN, 경인방송 라디오에 고정 출연, 게임과 IT 문화 주제로 〈주간경향〉 <아시아경제> 등에 정기 기고 경력이 있다. 현재 게임문화재단 이사, 한국게임정책자율기구 이사, 한국중독심리학회 이사로 활동하고 있다. 저서로 《여자와 남자는 왜 늘 평행선인 걸까?》 《사회심리학(공저)》 《청소년에게 게임을 허하라(공저)》 《십 대를 위한 미래과학 콘서트(공저)》 《퇴근길 인문학 수업: 관계(공저)》 등이 있다.

EDITOR AE류정미
한빛비즈
전화 : 02-325-5506
주소 : 서울 서대문구 연희로2길 62 4층
정직한 사람들이 만드는 정직한 책
본 칼럼니스트의 최근 글 더보기
해당 카테고리의 다른 글